gradle build를 해보자.
1. 인텔리제이 실행 후, 프로젝트 위치에서 터미널을 연다.
2. windows라면(ios 아님), ./gradlew.bat 입력 후 엔터
-->> 아래 사진처럼 build successful 이라는 문구가 나올 것이다.
** build failed 발생 시, java 버전을 확인해보자.
** java 버전 확인은 본인 글에 있다. https://ysh0910.tistory.com/20 참고바란다.
[Spring] 인텔리제이 Java version 확인, 환경변수 JAVA_HOME 확인/변경 방법
java version과 환경변수를 확인, 변경하는 방법이다. 우선 인텔리제이에서 터미널을 열고, java -version 입력 후 엔터 그러면 아래처럼 현재 프로젝트의 java version을 확인 할 수 있다. gradle java버전과
ysh0910.tistory.com
3. 2번에 성공했다면, ./gradlew build 입력 후 엔터
--> 아직 lib 파일이 설치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들 빌드를 하는것
--> 2번을 성공했다면, 3번도 문제없이 진행될 것이다.
4. 프로젝트 안에 build 폴더에 libs 폴더가 생성된게 보일 것이다.
--> libs 폴더 우클릭 후 터미널을 열자.
5. java -jar "build >> libs >> ~~SNAPSHOT.jar" 파일 복사해서 붙여넣자.
**본인의 경우 java -jar hello-spring-0.0.1-SNAPSHOT.jar 이다
아래처럼 spring이 실행되면 완료된 것이다.
[Spring] getter / setter 단축키 (인텔리제이) (0) | 2024.02.27 |
---|---|
[Spring] java 버전, SDKs 등 변경 후 메인 메서드 실행시 오류 (인텔리제이) (2) | 2024.02.27 |
[Spring] 인텔리제이 Java version 확인, 환경변수 JAVA_HOME 확인/변경 방법 (2) | 2024.02.27 |
[Spring] thymeleaf 템플릿 엔진 사용 예시 (feat. @Controller, @Getmapping, Model, viewResolver) (0) | 2024.02.26 |
[Spring] Spring boot 프로젝트 welcome page 어디에?? (인텔리제이) (feat. Spring boot 정보 찾기) (2) | 2024.02.26 |